저희 사무국에서 7월 2일 독립기념관에서 료범 나창헌 선생 어록비 제막식에 방문했습니다.
료범 나창헌 선생은 경성의전 재학 중 3.1운동을 주도하며 독립운동의 길로 나가셨습니다. 이후 대한민국청년외교단, 조선민족대동단 등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에 힘을 쓰셨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후 임시의정원 의원, 임시정부의 경무국장, 내무부차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특히 조선민족대동단의 단원으로 의친왕 이강 망명 계획에 참여하나 망명은 실패하였습니다. 이후 상해로 망명, 철혈단(鐵血團)을 통해 의열투쟁의 길로 독립운동에 헌신하셨습니다.
독립기념관 어록비공원에 세워진 료범 나창헌 선생 어록비에는 나창헌 선생이 몸담았던 <병인의용대 창립선언서>가 새겨져 있습니다. 병인의용대는 일제의 주요 식민통치 기관 파괴, 일제 관리 및 밀정 처단 등의 의열투쟁 방략으로 활동한 단체입니다. 제막비에 새겨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혈(義血)이 가슴에 가득 찬 기력이 강장한 청년동지들이여 오라, 전진하라.
우리들은 호무선궁(好武善弓)하였던 강용한 민족이다
검두에 선혈을 묻히고 신비의 묘경을 개척한 역사적 유훈을 체험하여 오직 흑철(黑鐵)과 적혈(赤血)로써 성국(盛國)의 기업을 대정(大定)하라
- 1926년 2월 12일 병인의용대 창립선언서에서 -
저희 사무국에서 7월 2일 독립기념관에서 료범 나창헌 선생 어록비 제막식에 방문했습니다.
료범 나창헌 선생은 경성의전 재학 중 3.1운동을 주도하며 독립운동의 길로 나가셨습니다. 이후 대한민국청년외교단, 조선민족대동단 등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에 힘을 쓰셨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후 임시의정원 의원, 임시정부의 경무국장, 내무부차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특히 조선민족대동단의 단원으로 의친왕 이강 망명 계획에 참여하나 망명은 실패하였습니다. 이후 상해로 망명, 철혈단(鐵血團)을 통해 의열투쟁의 길로 독립운동에 헌신하셨습니다.
독립기념관 어록비공원에 세워진 료범 나창헌 선생 어록비에는 나창헌 선생이 몸담았던 <병인의용대 창립선언서>가 새겨져 있습니다. 병인의용대는 일제의 주요 식민통치 기관 파괴, 일제 관리 및 밀정 처단 등의 의열투쟁 방략으로 활동한 단체입니다. 제막비에 새겨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혈(義血)이 가슴에 가득 찬 기력이 강장한 청년동지들이여 오라, 전진하라.
우리들은 호무선궁(好武善弓)하였던 강용한 민족이다
검두에 선혈을 묻히고 신비의 묘경을 개척한 역사적 유훈을 체험하여 오직 흑철(黑鐵)과 적혈(赤血)로써 성국(盛國)의 기업을 대정(大定)하라
- 1926년 2월 12일 병인의용대 창립선언서에서 -